반응형
고속철도 SRT 도 KTX와 동일하게 열차 내에서 보안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동탄에서 울산으로의 열차를 이용하다가 발견해서 접속했는데 승차하면 자동으로 잡혀서 매우 편리합니다. 아직 모르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접속 방법 소개합니다.
KTX
먼저, 아이디 / 패스워드를 먼저 소개합니다. 알고 계시겠지만 KTX 보안 와이파이와도 동일합니다.
즉, KTX Wifi free의 경우 KTX 탑승 시 바로 free 와이파이가 잡히며 이를 사용하시려면 "KTX Wifi free"를 연결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.
그리고 KTX Wifi secure를 접속하려면 하기와 같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 한번 연결하시면 다음번에 자동으로 연결된다는 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 Wifi 가 끊기는 구간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재연결이 되어서 매우 편리합니다. 즉 아이디, 패스워드를 재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.
그래서 저는 KTX Wifi secure를 사용합니다. 한번 사용해 보세요~
KTX Wifi free --> 아이디 : wifi 패스워드 (비번) : wifi
KTX Wifi secure --> 아이디 : wifi05 패스워드 (비번) : wifi05 ()
SRT
SRT 이용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열차에 탑승하시면 바로 잡히는 Wifi 는 접속 시 아이디 및 비번 패스워드를 입력시킬 필요 없이 바로 접속 절차를 진행하시면 접속이 됩니다.
하지만 보안을 위해 SRT Wifi secure를 사용하려면 먼저 SRT Wifi secure 가 Wifi 에서 잡혀 야만 합니다.
하기 그림을 보시면서 접속해 보시기 바랍니다. 한번 접속하시면 다음에는 별도로 재입력하실 필요는 없습니다. 또한 열차 이용 시 터널이라든지 Wifi 연결이 끊기는 지역을 지난 후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재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접속이 됩니다. 그래서 저는 무조건 SRT Wifi secure를 사용하지요~
꼭 한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
아이디 : wifi 패스워드 (비번) : wifi
그럼 순서대로 한번 알아볼게요.
먼저 SRT를 이용하시면 자동으로 와이파이가 잡힙니다. 하지만 보안 와이파이는 잡히는지는 열차마다 시간마다 날짜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것 같습니다.
위 사진처럼 "SRT-Wifi-Secure" 이 보이시면 선택 후 연결하십니다. 그러면,
위 사진과 같이 연결 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. 그러면 위 사진처럼 아이디와 동일하게"wifi"를 입력합니다. 이때 wifi 는 소문자로 입력해 주세요~ 그런 다음엔,
위의 사진처럼 "연결됨"이라는 표시가 되면서 앞으로는 SRT 열차를 이용할 때 자동으로 "SRT-Wifi-Secure"에 접속됩니다. 앞으로 이를 기억하시고 앞으로 쭉 보안 와이파이를 사용하시어 보안 걱정 뚝, 데이터 사용 걱정 뚝하시기 바랍니다.
주변에 계시는 분들께 공유해 주시기 바랍니다.
이미 알고 계시더라도 모르는 분들을 위해 공유해 주세요~^^
감기 조심하세요~
반응형
댓글